“느 집엔 이런 거 없지?”


“부려만 먹고 왜 성례 안 하지유!”

중·고등학교 문학 시간에 한번쯤은 읽어봤을 이 정겨운(?) 문장, 바로 김유정의 [동백꽃],[봄봄] 속 명대사다. 김유정의 농촌 문학은 실감나는 묘사와 해학이 있는 등장인물들로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작중 배경을 통해 당대의 현실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현실 고발적인 면도 갖추었다. 1930년대 농촌의 현실을 김유정 문학 속 배경과 등장인물들로 살펴보자.

 

 

농촌의 현실에 귀를 기울이다

가난마저도 해학으로 승화시키다.김유정 문학의 주 무대인 1930년대의 한국 농촌은 ‘식민지’와 ‘봉건주의적 억압’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었다. 등단하기 전까지 직접 농촌에서 야학을 운영했을 만큼 그는 농민들의생 활 개선과 문맹 퇴치 등에도 큰 관심을 기울였다. 초기 김유정 소설들은 주로 목가적인 사랑 이야기를 다룬다.


 [동백꽃],[봄봄] 등이 보여주고 있는 농촌은 청년들의 풋풋한 사랑으로 이뤄져 있다. 그의 초기 단편들은 대개 지주집 자식과 종의사랑이라는 계층적 대립을 다루고 있으면서도 살벌한 증오 대신 유머가 가득하다.


“요담부터 또 그래 봐라,내 자꾸 못살게 굴 테니." “그래 그래,인젠 안 그럴테야.”‘닭 죽은 건 염려 마라. 내 안 이를 테니" 그리고 뭣에 떠다밀렸는지 나의 어깨를 짚은 채 그대로 팍 쓰러진다. [동백꽃]中




그의 소설 속 주인공 중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소작인이나 머슴들의 생활이 곧 1930년대 한국 농촌의 현실이었다. 소설 속 주요 등장인물들은 어리숙하다 못해 순박한 모습으로 읽는 이의 웃음을 불러일으키는데 그 웃음 일면에는 주인공들의 가난하고 비참한 생활이 자리하고 있어 많은 이들이 김유정의 문학을 ‘해학적’이라고 평한다.




애정 어린 눈길로 농촌의 인간 군상을 담아내다

하지만 그의 후기작들은 초기의목가적세계를 벗어나 치열한 현실 인식을 드러낸다. 김유정은 식민지 치하의 농촌 풍경을 노름, 매춘, 일확천금을 향한 꿈에 빠져 있는 등장인물들로 나타냈다. [만무방]의 주인공 응칠은 노름에 빠져 가족과 뿔뿔이 흩어지고 고향으로 돌아와서도 노름을 일삼으며 당시 농민들의 자포자기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자식,남의 벼를 훔쳐가니!"...(중략)...“성님까지 이렇게 못살게 굴기유?” 제법 눈을 부라리며 몸을 홱 돌린다. 그리고 느끼며 울음이 복받친다. 봇짐도 내버린 채, “내 것 내가 먹는데 누가 뭐래?"하고 데퉁스러이 내뱉고는 비틀비틀 논 저쪽으로 없어진다. [만무방] 中


동생 응오는 응칠과 달리 성실한 농군이지만 소작농이기 때문에 자기가 농사지은 벼를 훔쳐야 히는 지경까지 몰린다.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빈둥거리며 노름을 일삼는 응찰처럼 계속 배를 곯을 수밖에 없다. 김유정은 가난에 허덕일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간접적으로 비판하면서 등장인물들이 눈앞의 현실에 급급해 저지르는 어리석은 행동을 이들을 향한 연민과 애정으로 익살스럽게 표현해 독자들을 웃음짓게 했다.




가난마저도 해학으로 승화시키다.김유정(1908-1937)

강원도 춘천 출신으로 1935년 소설[소낙비]가 조선일보  신춘문예에,[노다지]가 중외일보에 각각 당선됨으로써 문단에 데뷔했다. [봄봄],[금 따는 콩밭],[동백꽃],[따라지] 등의 소설을 내놓았고 29세로 요절할 때까지 30편에 가까운 작품을 발표했다.


홈페이지 :  http://www.kimyoujeong.org/



 

 

'문화,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冊房 책방  (0) 2018.12.17
장인탐방  (0) 2017.04.14

+ Recent posts